답글쓰기
글쓴이
제 목
이메일
답변쓰기
---------- 이보현 님이 작성한 원본 ---------- <PRE> 관세음보살님 33응신에 대하여.... “관음삼매경에는”에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이르기를 “관세음은 나보다 먼저 부처가 되었으니 이름을 정법명왕여래라 하였고 나는 그 부처님의 제자로 수행하여 이 경을 수지 하였다.”라고 쓰여 있다. 또한 “대승대비 분다리가경”에는 아미타불이 전생에 법장비구로 수행 시 관세음보살이 사불로서 “세자재왕불”이라 하였으며 그에게 극락세계를 교화 받았다 한다. 관세음보살은 불모대준제요 지혜와 자비의 신불이다. 관세음보살은 머리에 쓴 화관에 상징적으로 화불을 표현한다. 그런데 관세음보살이 아미타부처님의 협시보살이므로 그 부처님이 아미타불이라는 설이 있으나 예부터 관세음보살은 점안할 때 “관음정상 천광왕정주여래”라고 불렀으므로 천광왕정주여래라고 해야 옳을 것이다. 관세음보살은 본래 천광왕정주여래가 교주로 계실 때 중생구제의 48대원을 세워 관세음보살이 되었다고 한다. 관세음 33현신(변화신)과 응현신 관세음보살의 모습을 그대로 나타내시어 모습의 자세나 옷의 다른 모습으로 나타내심을(변화신)이라고 하는데 이 변화신의 모습은 응현신의 숫자만큼 삼십삼신의 여러 가지 모습으로 나타나신다. 이들 삼십 관음을 33현신 이라고도 하며 이름은 다음과 같다. 1.양류관음(楊柳觀音) 2.용두관음(龍頭觀音) 3.지경관음(持經觀音) 4.원광관음(圓光觀音) 5.유희관음(遊戱觀音) 6.백의관음(白衣觀音) 7.연와관음(蓮臥觀音) 8.롱견관음(瀧見觀音) 9.시약관음(施藥觀音) 10.어람관음(魚藍觀音) 11.덕왕관음(德王觀音) 12.수월관음(水月觀音) 13.일엽관음(一葉觀音) 14.청경관음(靑經觀音) 15.위덕관음(威德觀音) 16.중보관음(衆寶觀音) 17.암호관음(岩戶觀音) 18.연명관음(延命觀音) 19.능정관음(能靜觀音) 20.아뇩관음(阿뇩觀音) 21.아마례관음(阿摩禮觀音) 22.엽의관음() 23.유리관음(琉리) 24.다라존관음(多羅尊觀音) 25.합리관음(蛤?觀音) 26.육시관음(六時觀音) 27.보비관음(普悲觀音) 28.마량부관음(馬良婦觀音) 29.합장관음(合掌觀音) 30.일여관음(一如觀音) 31.불이관음(不二觀音) 32.지련관음(持蓮觀音) 33.쇄수관음(灑水觀音)이다. 그런데 위의 삼십삼관음은 그 한 보살들에 각각 해당되어 중생을 제도 하거나 몸을 나투시거나 중생들을 어려움에서 구해 주시는 일을 하시는데 보문품에서 그 내용이 설명되어 있듯이 중생들에게 맞게 제도하시고 제 모습을 변하여 나타나시는데 머리위에 하나같이 화불이 계시며 원광이 있고 그 모습도 여러 가지의 모습이 있다. 가령 수월관음이라고 하여도 바위 위의 연꽃에 앉아 계신 모습과 연잎에 떠서 물에 비치는 달을 관조하고 계시며 서있는 모습 등이다. 이제 한분한분 중생을 제도하시는 모습을 보자, 1 양류관음은 자비의 화신으로 애욕을 없애주시며, 2 용두관음은 천, 용, 야차 등을 제도하시며, 3 지경관음은 성문의 몸을 나투시어 우리를 제도하시며, 4 원광관음은 빛이나 불을 나타내어 중생을 제도하시며, 5 유희관음은 금강산처럼 높은곳에서 떨어지더라도 상하지 않게 구원하시며, 6 백의관음은 비구비구니의 몸을 나투시어 중생을 제도하시며, 7 연와관음은 응신의 바른몸으로 제도하여 주시며, 8 롱견관음은 불에 떨어져도 불구덩이가 연꽃으로 변하게 하며, 9 시약관음은 허공에 해가 떠 있듯이 관음의 자비는 항상 우리를 보살펴 주시며, 10 어람관음은 바다에서 악귀나 나찰을 만났을때 우리를 보살펴 주시며 11 덕왕관음은 범왕신의 몸을 나타내어 우리를 구해주시며, 12 수월관음은 벽지불의 몸으로 나타나시어 우리를 구해 주시며, 13 일엽관음은 재관신의 몸으로, 14 청경관음은 부처님의 모습으로, 15 위덕관음은 천대장군의 모습으로, 16 중보관음은 장자의 모습으로, 17 암호관음은 독한벌레나 뱀으로부터 우리를 구원해 주시며, 18 연명관음은 남이 나를 저주와 주문으로 해하고저 할 때에 나를 어려움에서 구원해주시며, 19 능정관음은 우리들이 탄 배가 표류를 하였을 때 구원해 주시며, 20 아뇩관음은 독용과 잡귀신들로부터, 21 아마례관음은 비사문의 몸으로, 22 엽의관음은 제석신의 몸으로, 23 유리관음은 자재천신의 모습으로, 24 다라존관음은 우리를 해치고저 하는 원수들의 에워싸임에서, 25 합리관음은 보살의 몸으로, 26 육시관음은 거사의 몸으로, 27 보비관음은 대자천신의 몸으로, 28 마량부관음은 부녀신의 몸으로, 29 합장관음은 바라문의 몸으로, 30 일여관음은 무서운 우박과 큰 비의 어려움에서, 31 불이관음은 집금강신의 모습으로, 32 지련관음은 동남동녀의 모습으로, 33 쇄수관음은 큰물에 떠내려갔을 때에 우리를 구원하여 주신다. 이처럼 삼십삼관음은 항상 우리들 곁에서 우리들의 어려운 고통을 없애주시고 때에 따라서는 영원한 부처님의 지위에 오르게 함에도 힘쓰시는 분이다. ---------- 이 보현 님이 작성한 원본 ---------- <P></P> <P> </P> <IMG class=tx-daum-image style="CLEAR: none; FLOAT: none; WIDTH: 575px; CURSOR: pointer" hspace=1 src="http://cfile220.uf.daum.net/image/182E9D194A2A6AF5E6154B" width=940 vspace=1 border=0 actualwidth="940" isset="true"></P> <P><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SPAN></SPAN></P> <P class=바탕글><SPAN style="FONT-FAMILY: 바탕체; mso-fareast-font-family: 바탕체; mso-hansi-font-family: 바탕체"><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FONT color=#193da9> <FONT color=#8c044b><B> <수월관음도> <P>고려 1310년, 견본채색, 430cm×254cm 일본 가가미진자(鏡神社) 소장 </P><P> 나무 관세음 보살님께 귀의하고 발원하옵나이다 _()()()_ </UL></UL></SPAN></FONT></PRE></TD></TR></TBODY></TABLE></TD></TR> </TBODY></TABLE></TD></TR></TBODY></TABLE>
HTML
텍스트(기본)
HTML태그 포함
등록글
이미지에 적힌 글을 적으세요
자료첨부
첨부파일이름
*이미지 성격에 맞는 단어를 적으세요 예)불교대학 몇기
비밀번호